Xpenology 6.0.2(헤놀로지 6.0.2)가 설치된 NAS에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위 링크의 글을 이용해서 워드프레스(WordPress)를 설치하셨다면 아실겁니다. 자신의 NAS web폴더안에 "wordpress"폴더에 설치가되어 블로그 접속 주소에 꼭 "wordpress"경로가 들어가게 됩니다.
도메인, DDNS주소를 이용한다고 해도 "주소/wordpress"가 되니 영 이상합니다. NAS에 설치된 WebStation에서 가상 호스트 설정을 해 주므로써 간단하게 이 문제를 해결할수 있습니다.
워드프레스(WordPress)접속주소 변경하기.
워드프레스(WordPress)의 설치된 주소를 자신이 보유한 도메인 DDNS주소로 변경해 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WordPress) 설정 -> 일반항목을 보시면 위 화면처럼 워드프레스가 설치된 주소, 사이트 주소 항목이 있습니다.
사이트 주소 항목에 접속에 이용할 도메인또는 ddns주소를 입력하세요.(저는 ddns주소 사용) 그리고 하단 "변경 사항 저장"버튼을 꼭!! 클릭 하세요.
지정하신 도메인, ddns주소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하세요. 아직까지는 워드프레스 설치 폴더명이 들어가야 됩니다.
변경된 주소로 접속이 되는것을 확인하셨다면 워드프레스 설치폴더명을 빼고도 접속이 되게 설정을 해 보겠습니다.
NAS 메인메뉴를 선택 하셔서 "Web Station"을 실행 하세요.
"Web Station"을 실행하면 위 화면이 나오는데 "PHP 설정"을 선택 후 설치된 최신버전의 PHP버전을 선택 후 "편집"을 누르세요.
확장 부분을 모두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 주세요.
이제web\wordpress안에 있는 .htaccess, index.php파일을 web 폴더로 복사하세요.
web 폴더로 복사를 하셨다면 web 폴더안에 있는 index.php를 열어 수정을 하셔야 합니다.
index.php를 편집기로 열어보면 "require( dirname( __FILE__ ) . '/wp-blog-header.php' );"항목이 있는데 이 항목을 아래 처럼 바꿔 주세요.
require( dirname( __FILE__ ) . '/wordpress/wp-blog-header.php' );
이제 워드프레스 설정 -> 고유 주소로 가셔서 한번더 저장을 눌러 주시면 마무리 됩니다.
이제 워드프레스 설치 경로를 빼고 접속주소를 입력해 보세요. 위 화면처럼 접속이 됩니다.
관리자 설정화면도 지정한 도메인(또는 DDNS)으로 바로 접속이 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Web Station의 가상 호스트 설정을 통해 간편하게 워드프레스(WordPress)접속주소를 변경해 보았습니다.
저는 이 글을 마무리하면서 제 블로그 도메인주소를 이용해 워드프레스(WordPress) 블로그 연결을 해 두었습니다.
서브도메인을 만들어서 연결해 두었는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위 서브도메인으로 계속 연결 해 둘거같네요.